목록study (31)
KSI일기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V9uz/btsGDDjHohN/eATktK4T6H2RiF2p9ExYQ1/img.png)
*****전체 시퀀스 조회 *****SELECT * FROM all_sequences; *****특정 시퀀스 조회 ***** SELECT * FROM user_sequences WHERE sequence_name = '시퀀스명'; *****시퀀스의 다음 값 조회 ***** SELECT 시퀀스명.NEXTVAL FROM DUAL;--> SELECT문으로 해당시퀀스.NEXTVAL 조회하면 실행할때 마다 시퀀스값이 증가된다. *****시퀀스의 현재 값 조회 *****SELECT 시퀀스명.CURRVAL FROM DUAL;SELECT LAST_NUMBER FROM ALL_SEQUENCES WHERE SEQUENCE_NAME = '시퀀스명';-->CURRVAL은 NEXTVAL을 한번 실행한 세션에서만 사..
*테이블 생성 ( Create)CREATE TABLE [테이블명] ( [컬럼명1] [데이터타입] [옵션(ex. PRIMARY KEY)], [컬렴명2] [데이터타입] [옵션(ex. NOT NULL)] ); *전체 삽입 ( 데이터 삽입할 컬럼명 생략 가능) (Insert)INSERT INTO 테이블명VALUES ('컬럼1 데이터', '컬럼2 데이터', '컬럼3 데이터', '컬럼4 데이터'); 데이터 부분 삽입(Null값 허용하는 컬럼은 생략가능하므로 부분 삽입 가능) INSERT INTO 테이블명 (컬럼1, 컬럼2, 컬럼3, 컬럼4) VALUES ('컬럼1 데이터', '컬럼2 데이터', '컬럼3 데이터', '컬럼4 데이터'); ex)INSERT INTO TB_LANGUAGES (ID, LOCA_COD..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7sjA/btsGGbzsKU8/R17FUUZpWlUlj6GJk8RUH0/img.png)
***** TableSpace 조회 ***** SELECT * FROM DBA_TABLESPACES; 결과: *****TableSpace 용량 조회1(간단조회)***** SELECT A.TABLESPACE_NAME , 100 - ROUND((FREE/TOTAL) * 100, 0) || '%'USED_RATE , TO_CHAR(TOTAL, '999,999') || 'MB'TOTAL_SIZE , TO_CHAR(FREE, '999,999') || 'MB'FREE_SIZE FROM (SELECT TABLESPACE_NAME , ROUND(SUM(BYTES) / 1024000, 1) FREE FROM DBA_FREE_SPACE GROUP BY TABLESPACE_NAME) A, (SELECT TABLESPACE_..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AJkRn/btsFBcfl4GP/juD5fdot99KWXb0lJLFbb0/img.png)
1. 유저 생성을 위한 Maria DB 관리자 계정으로 SYS DB 생성 2.MariaSys 의 SQL편집기 열어서 WEB-INF/template/applicationContext.xml에 있는 것과 같게 USER생성 및 권한 부여 3. 생성한 유저로 DB생성 4.바로 위에서 생성한 DB에 테이블 생성 및 데이터 삽입 5. 프로젝트를 intellij로 열어서 JDK 및 Tomcat 설정 -Tomcat 설정 바로 위 화면에 war가 없을 시 아래 화면 처럼 추가해줘야 합니다. -JDK설정 결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fBH0/btsFnZsVleI/ZUKYxFxSYEKtFHBI6d5MxK/img.png)
NTP(Network Time Protocol)는 시간을 동기화하는 프로토콜입니다. 매우 중요합니다 컴퓨터나 서버 등 내부시각을 정기적으로 동기화하는 프로토콜로 전 세계 호스트가 같은 시간으로 통신할 수 있습니다. NTP서버는 국가나 대학 등이 관리하는 표준 시간에 가까운 서버 아래 계층적으로 배치 됩니다. 계층 구조 상위에 있는 서버를 stratum1이라 하고 아래에 stratum2, 그 아래 stratum3 NTP서버가 분기되 연결 되어있습니다. 계층이 깊어질수록 시간오차가 누적되지만 stratum2에서 그 오차를 예측해 보정해줍니다. 표준시간으로 설정하는 방법 컴퓨터에서 설정하는 방법은 '설정' -> '시간 및 언어' -> '날짜 및 시간' -> '자동으로 표준 시간대 설정' 체크해주시면 NTP서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9C6fN/btsEQRKzwP9/ZlFm6Ce2klKqkDGmrRCbk0/img.png)
익스포트 할 때 UTF-8로 설정했더라도 액셀로 열면 한글이나 영어가 아닌 경우 아래 이미지 처럼 깨져서 보여질 수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메모장으로 열면 한글, 영어 외 다른 언어들도 정상적으로 보여집니다.
비트(bit) :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 2진수(1 또는 0)로 표현된다. 데이터를 저장, 전송 처리 시 사용된다. 바이트(Byte) : 데이터 파일의 크기,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양을 표현하는데 사용되는 측정 단위이다. 0~255까지 총 256개의 값을 표현할 수 있다. 1Byte == 8bit bps(Bit Per Second) : 초딩 비트 수 이며, 통신기기의 속도를 나타낸다. ASCII : 아스키는 미국정보교환표준부호로 영문 알파벳을 사용하는 대표적인 문자 인코딩이다. 문자를 7비트로 표현해 총 128개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ex) 이진법 약자 0000000 NULL 0000001 SOH(Start Of Header) 헤더시작 0000010 STX(Start Of..
라우터 라우터의 기본기능은 LAN과 LAN을연결하고 목적지에 따라 패킷을 처리하는 것입니다. 여러장치로 구성된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LAN으로 묶어 내부패킷을 처리하면서 동시에 외부 LAN과도 연결해서 상호 간 패킷을 교환합니다. 이런 패킷 처리를 라우팅이라고 합니다. 라우팅에서는 패킷의 헤더를 확인하고, 자신이 관리하는 LAN을 향항 패킷이라면 받아들여 목적지 장치에 전달하고, 그렇지 않으면 다른 라우터에 전송합니다. 자신의 LAN에서 패킷을 받을 때도 마찬가지로 처리합니다. 앞서 말한 '다른 라우터'란 자신과 직접 연결된 라우터를 의미합니다. 이런 기능을 구현하고자 라우터에는 내부LAN과 외부LAN을 연결하는 연결포트가 2개 있습니다. 패킷 패킷이란 주고받는 데이터 단위를 의미합니다. 데이터를 주고받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