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I일기장
1120 데이터 or grid(리스트)가 보이지 않는 경우(Indonesia) 본문
const grid = new tui.Grid({
el : document.getElementById("grid"),
columns : [
{ header:/*[[#{ctrl_date}]]*/, name : "ctrlDate;"},
{ header:/*[[#{cctv_id}]]*/, name : "cctvId;"},
{ header:/*[[#{ctrl_code}]]*/, name : "ctrlCodeNm;"},
{ header:/*[[#{ctrl_cmd}]]*/, name : "ctrlCmd;"},
{ header:/*[[#{ctrl_rslt}]]*/, name : "ctrlRsltNm;"},
{ header:/*[[#{oper_id}]]*/, name : "operId;"},
],
{ header:/*[[#{ctrl_date}]]*/, name : "ctrlDate;"} --> 에러는 없었는데 ; 가 붙어있어서 데이터가 보여지지 않았음
--> dto하고 다르게 적혀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보여지지 않았던 것이다.,
데이터가 보이지 않는 이유에는 위에 이유말고도 dto에 @Getter @Setter @RequiredArgsConstrutor 등의
Lombok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생성자를 만들어주지 않으면 그럴 수 있다.
또 list를 가져오는 <script>에 적혀있는 url하고 controller에 적혀있는 url하고 일치하지 않을 경우 안보일 수 있다.
위처럼 데이터만 안보이면 다행이지만 grid(리스트) 자체가 안보이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다.
{ header:/*[[#{ctrl_Id}}]]*/, name : "cctvId"} --> 자세히보면 ' } ' (중괄호)가 하나 더 붙어있다.
이런 경우는 grid자체가 보여지지 않는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버함체 형태, 구성컴포넌트(CPU,메모리,스토리지드라이브,NIC) (0) | 2023.11.24 |
---|---|
DB 데이터타입 BLOB (2) | 2023.11.22 |
WHERE 1=1 의 의미와 사용 이유 (0) | 2023.11.15 |
TCP , UDP & NAT , NAPT (0) | 2023.11.09 |
프로토콜 & OSI 참조모델(레이어7계층) & TCP/IP모델4계층 & 이더넷 (1) | 2023.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