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I일기장
AWS EC2 spring framework(스프링 프레임워크) 배포하기!!(2) 본문
저번 1편 ec2 생성에 이어서 spring framework 와 연동을 해보겠습니다
먼저 SSH클라이언트를 이용해 인스턴스에 연결을 해줘야 합니다.
위 이미지 처럼 순서대로 해서 SSH클라이언트랑 본인 컴퓨터랑 연결을 해줘야 합니다.
같이 해보겠습니다
먼저 cmd 창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해 줍니다.
실행 후 아래 이미지대로 명령어들을 입력해 줍니다.
icacls.exe .pem파일이름 /reset
icacls.exe camp.pem /reset
icacls.exe .pem파일이름 /grant:r "%username%:(r)"
icacls.exe camp.pem /grant:r "%username%:(r)"
icacls.exe .pem파일이름 /inheritance:r
icacls.exe camp.pem /inheritance:r
위 3개 이미지대로 명령어를 모두 완료하였으면 "퍼블릭 DNS를 사용해 인스턴스 연결" 부분을
복사해 아래와 같이 입력해 줍니다.
연결완료!!
이제 자바를 설치해야 합니다.
먼저 자바가 있는지 버전을 확인해 줍니다.
javac -version
없으시면 설치 해줘야 합니다.
아래 명령어로 설치해 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openjdk-11-jre
sudo apt-get install openjdk-11-jdk
경로도 확인해 줍니다.
readlink -f /usr/bin/javac
환경변수 설정을 해줍니다.
tomcat9 설치 해줍니다.
sudo apt-get install tomcat9
sudo /usr/share/tomcat9/bin/version.sh
'Serv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켓(Socket)통신 개념 (0) | 2024.04.24 |
---|---|
git 레파지토리(repository) 생성 후 파일 처음 올릴 때 (0) | 2023.07.27 |
AWS EC2 spring framework(스프링 프레임워크) 배포하기!!(1) (1) | 2023.07.03 |
AWS 보안그룹 생성하기(DB연동에 필요) (0) | 2023.07.03 |
AWS 계정 추가(I AM 계정 생성) (0) | 202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