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I일기장
HTTP, HTTPS, SSL, TLS, 암호화 역할 본문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로토콜 중 중요한 프로토콜이다.
웹브라우저로부터의 요청에 대해 HTTP서버가 응답하는 전형적인 클라이언트 서버 프로토콜이다.
HTTPS(HTTP Secure)
:HTTP를 'SSL(Secure Socket Layer)' / 'TLS(Transport Layer Security)'로 암호화한 프로토콜이다.
'SSL(Secure Socket Layer)' / 'TLS(Transport Layer Security)'
:데이터를 지키기 위해 '암호화', '해시화', '디지털 인증서'를 조합해 사용한다.
암호화를 사용하면 제3자가 데이터를 훔쳐보는 도청을 막을 수 있다.
해시화를 사용하면 제3자가 데이터를 바꿔쓰는 변조를 막을 수 있다.
디지털 인증서를 사용하면 제3자가 다른사람을 사칭하는 위장을 막을 수 있다.
SSL/TLS는 '공통키 암호화 방식', '공개키 암호화 방식' 두 암호화 방식을 조합해 사용한다.
공통키 암호화 방식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를 같은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이다.
구조가 단순하므로 컴퓨터에 큰 처리 부하가 걸리지 않는다.
공개키 암호화 방식
:암호화 키와 복호화 키를 서로 다른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이다.
공개키로 암호화한 것은 짝을 이뤄 비밀키로만 복호화 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는 공개키를 전달하고, 서버는 비밀키를 저장해두고 운용한다.
암호화키는 암호화 하기 위한 키고, 복호화키는 암호를 해석(복호화)하기 위한 키 이다.
'study'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밍 개념 (0) | 2023.12.18 |
---|---|
FTP, VPN 개념과 역할 (0) | 2023.12.14 |
웹 3계층 모델(웹,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개념 (0) | 2023.12.14 |
메일 서버의 역할 (0) | 2023.12.12 |
SIP 서버, 프락시 서버의 개념 (0) | 2023.1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