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SI일기장
charAt과 substring의 차이 본문
charAt() => 자료형이 char로 하나의 문자만 가져온다. 괄호()안은 몇번째 값을 가져올지 적어준다. 값을 비교할때는 '==' 을 사용하고 char이므로 기본 따움표( ' ' )로 감싸줘야한다.
예를 들어 String st = "123"; st.charAt(2) 라고 하면 결과값은 '3'이 되는 것이다.
substring() => 자료형이 String으로 괄호()안에 값이 하나면 그 값부터 마지막 값까지 가져오고, 쉼표( , ) 구분자를 사이에 두고 값을 두개 넣어주면 첫번째 값부터 두번째 값전까지의 값을 가져온다.
값을 비교할때는 charAt과 다르게 ' equals() '를 사용한다.
예를 들어 (0,4) 면 0번째부터 3번째까지의 값을 가져오게 된다. String st = "12345678"; st.substring(0,4) 라고 하면
결과값은 "1,2,3,4,5"가 되는 것이다.
차이점 정리
charAt()은 하나의 문자만 가져올 수 있고, substring()은 여러개도 가져올 수 있다.
charAt()은 값을 비교할 때 ' == ' 를 사용해 비교하고 substring()은 equals()를 사용해 비교한다.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ClipReport Error 해결(Eclipse, IntelliJ) (0) | 2024.09.04 |
---|---|
spring DB Mysql 사용 설정(intellij) (0) | 2024.03.13 |
향상된 for문 (1) | 2023.11.29 |
JavaScript insertAdjacentText()메서드 (0) | 2023.11.01 |
JavaScript 프라미스, async와 await (0) | 2023.11.01 |